1. 전국 각지에서 가격을 부풀리는 ‘바가지’가 기승을 부리고 있음. 전통시장, 지역축제, 명동 등 관광객이 몰리는 장소는 물론이고, 한국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모든 영역에서 ‘내일은 없다’ 식의 바가지 영업이 판을 치고 있음. 전문가들은 이를 상인 개개인의 욕망 차원의 문제만이 아니라, ‘불신 사회’의 한 단면으로 봐야한다고 분석. 사회적 신뢰가 붕괴하면서 서로 속고 속이는 양태의 범죄나 일탈행위가 많아졌다는 지적.
2. 24일 포스코그룹 계열사 주가가 폭등하면서 그룹 시가총액이 사상 처음으로 100조원을 돌파. 양극재·리튬 등 2차 전지 소재 사업에 대한 기대감으로 개인 투자자들이 몰려든 덕분. 그룹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 시총은 현대차, 삼성SDI는 물론 LG화학, 삼성바이오로직스마저 제치고 단숨에 코스피 4위로 등극.
3. 윤석열 대통령이 교권 강화를 위해 교육부 고시를 제정하고 학생 인권만 강조한 자치단체 조례의 개정도 추진하라고 직접 주문.
윤 대통령은 24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일선 현장의 구체적 가이드라인인 교육부 고시를 신속히 마련하라”고 지시. 그는 또 “당(국민의힘),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해 교권을 침해하는 불합리한 자치조례 개정도 병행 추진하라”고 말했다고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함.
4. 코로나 팬데믹 기간 누적된 100조원이 넘는 가계의 초과저축이 투자 대기성 자금으로 남으면서 긴축종료와 맞물려 자산시장을 다시 과열시키는 ‘뇌관’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옴. 코로나 팬데믹 기간 누적된 100조원이 넘는 가계의 초과저축이 투자 대기성 자금으로 남으면서 긴축종료와 맞물려 자산시장을 다시 과열시키는 ‘뇌관’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
5.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공적 자금을 지원받은 4개 증권사가 부동산PF 담당 임직원들에게 지급한 성과보수액이 770억원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남. 위험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 공적 자금으로 연명하면서도 성과급은 칼같이 챙겼다는 얘기.
6. 미국의 로스앤젤레스(LA)급 핵추진 잠수함인 아나폴리스함(SSN-760)이 24일 제주해군기지에 입항. 핵무장이 가능한 전략핵잠수함(SSBN)이 부산을 떠난 지 사흘 만에 또다시 미국 핵잠수함이 한반도에 기항한 것.
'오늘의 5분 뉴스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7월26일(수) 오늘의 5분 뉴스브리핑 (0) | 2023.07.26 |
---|---|
✶2023년 7월26일(수) 노주영의 5분 뉴스브리핑✶ (0) | 2023.07.26 |
2023년7월25일(화) 오늘의 5분 뉴스브리핑 (0) | 2023.07.25 |
2023년 7월25일(화) 오늘의 5분 뉴스브리핑 (0) | 2023.07.25 |
2023년 7월25일(화) 오늘의 5분 뉴스브리핑 (0) | 2023.07.25 |